자르파일.
많이 들어보고 다른사람이 만든 기능을 가져다 쓸때도 매번 옮겨 담기만 했지
정작 뭔지 모르고 썼었다. 그래서 찾아본 김에 나중에라도 다시와서 보면 기억이 날 정도로만 적어놓는다.
사전적으로 Java ARchive Files (JAR) 라고 한다.
C/C++ 에서처럼 library 찾아가면 함수를 바로 볼수 있는게 아니라 통합적인 파일이란 뜻
대강 내가 생각한 통합적인 이라는 말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지 찾아보니
그래서 jar 를 찾게된 원인을 보자면 Eclipse 를 써서 매번 내장 메소드의 내용을 확인해보려고 하면 소스에 접근을 못한다고 한다. 못 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이미 jar 파일 자체가 자바클래스 파일, 즉 Byte code 로 컴파일이 된 상태다.
<그림1> 같은 식으루다가 나옴 밑에 코드를 봐도 알아보기가 힘들다. 그래서 Eclipse 에서는 바로 볼 수 있게끔 설정이가능하더라.
내장형 클래스를 보기위해 설정을 하자면
Eclipse 메뉴에서 Window > Preferences > Java > Installed JREs > jre x.x.x > Edit > rt.jar > Source Attachment > External File > Java 설치 경로에 있는 jdk 안에 src.zip 을 추가하고 OK 누르면 된다.
다른방법으로 다른 사람의 jar 파일의 안을 보고 싶을 때에도 .ZIP 형식으로된 파일을 가져오면 된다.
<그림1> 에서 Attach Source 를 누르면 <그림2> 가 나오는데 External File 을 눌러 .ZIP 형식의 파일을 가져오면 된다.
# 추가적으로 JD-GUI(Java Decompiler) 라는 역컴파일러 도구를 통해서 jar 파일을 열어 볼 수 있다. 한번에 보기에는 이 도구가 더 좋은 거 같다.
다운로드 링크 > http://java-decompiler.github.io/
OS에 맞는 JD-GUI 를 다운받아 압축을 풀고 사용하면 된다. 간-편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impleDateFormat - 사용 예시 (0) | 2019.07.16 |
---|---|
Airbnb Copy Modeling : Javascript (0) | 2019.06.18 |
Jar 파일 모아둔곳 (0) | 2019.05.23 |
2019_04_17 명명규칙(Naming Conventions) (0) | 2019.04.17 |
2019_03_29 class 가 생성되면 어디에 저장이 될까 (0) | 2019.03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