▶ 스택영역 발담기!
auto , register 클래스 : 지역변수로 존재 |
static, extern 클래스 : 전역변수로 존재 |
|
void test() 함수에서 함수가 이미 종료되었음에도 static(전역변수)에 의해서 값이 남아서 101에서 105까지 출력되고, |
주소도 B 의 경우는 일반 지역변수 선언으로 B 값 이 메모리의 5가지 영역중 Stack 영역에 저장 이 되지만 |
전역변수의 A 값 같은 경우는 Data 영역에 저장 이 된다. |
▶ 실행화면에서 A값 101을 못찍었네!?..
※ 리다이렉션
tree > a.txt 하면 현재 창에 파일들을 띄워줘서 '>' 리다이렉션을 통해 방향을 바꿔 a.txt에 넣어준다. > : 파일저장을 현재창에 있는 것만 저장함. |
추가 : type 파일명 ( 문서내용이 보임 ) tree | more 파일량이 많아서 보기 힘들때 스페이스바를 누를때 한단위씩 띄워서 볼수있다. >> 파일저장되어있는것에 추가하여 저장. type a.txt > b.c : a.txt 에 있는 내용을 b.c 에 복사 copy con a.txt : 메모장이 없을시에 도스창에 소스를 쳐서 저장가능 |
'C++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3.05.13_J-K플립플롭,T,D_열거형_공용체_조건문 (0) | 2013.05.13 |
---|---|
2013.05.10_전역변수_릴레이를 이용한 토글 (0) | 2013.05.10 |
2013.05.07_구조체입출력(2) (0) | 2013.05.07 |
2013.05.06_구조체입출력(1) (0) | 2013.05.06 |
2013.05.03_해밍코드_파일입출력함수_센서값받아서 LCD 출력하기 (0) | 2013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