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++프로그래밍

    2013.03.26_함수의인수_자료형맞춰주기!!

    1. main 함수에서 선언한 인수와 average 함수의 인수리스트 의 자료형이 int 와 short 로 다르므로, 경고메세지를 띄운다. 실행을 하여도 값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. 자료형을 각각 맞춰줘야 한다!

    2013.03.26_함수도 주소를 가진다!!

    1. 각각 변수의주소와 함수의주소를 심볼테이블로 따로 만든다. 타입 이름 주소 int A1(변수) 12FF땡땡 void A2(함수) 4010땡땡 2. 함수의 5가지 영역(Code , Data, BSS, Heap, Stack) 에서 함수의주소는 Code 에 저장이 되고, 변수의주소는 Stack에 저장이 된다. (그림1에서 보는 것 처럼 printf 문에서 입력된 글수를 숫자(정수)로 받아지는 것은 int 형 함수이기 때문이다.) 함수는 함수대로, 변수는 변수대로 따로 메모리에 저장이 된다.

    2013.03.25_함수의정의

    함수의 정의! 6_1 #include float average ( int n1, int n2 ); // 함수의 proto type int main() { int num1; int num2; float avrg; printf("글쳐넣어라 : "); scanf("%d", &num1); printf("글쳐넣어라 : "); scanf("%d", &num2); avrg = average ( num1 , num2 ); // 함수호출시 인수끼리의 갯수가 같아야한다. printf("num1: %d , num2: %d , 평균 : %6.3f\n", num1,num2, avrg); return 0; } float average ( int n1, int n2) // 인수의 리스트 , num1 = n1 , num2 = n2 ..

    2013.03.25_비트연산자

    1. & 논리곱연산자, | 논리합연산자, ^ 배타적논리합연산자, ~ (틸트) 비트반전연산자, > 비트 이동연산자 & 논리곱연산진리표 | 논리합연산진리표 ^ 배타적 논리합 연산진리표 ~ 비트반전연산진리표 > 비트 이동 연산진리표

    scanf 와 fscanf, printf 와 fprintf 의 비교

    #include int main() { int iNum; printf("입력하셈: "); //scanf("%d", &iNum); // 2입력하면 2나옴 //printf("%d", iNum); fscanf(stdin,"%d", &iNum); // 2입력하면 2나옴 fprintf(stdout,"%d", iNum); // 똑같이 출력된다!! return 0; } stdin(키보드), stdout(모니터) 입력이 되있는데 scanf 에서 생략되서 나타낼뿐임.

    파일입출력함수

    칸을 순서대로 1. FILE 은 파일이라는 구조체를 지정했고, 포인터 변수(*fpin)를 선언해서 FILE 이라는 구조체를 가리킨다. 2. fopen 은 fpin 을 따라가서 파일을 열어주는 함수이름 3. 0 == fpin , 0 == fpout에서 fpin 이 d123.in 이라는 파일이 있으면 1, d123.in 이라는 파일이 없으면 0 의 값을 출력한다. 4. fclose(fpin), fclose(fpout) 은 앞에서 fopen 을 이용해서 열어놓았던 파일을 닫는 함수이다. ( ) 안은 그 파일의 주소. 5. scanf 는 fscanf 에서 온것이다. scanf 는 fscanf 를 불러오는 함수이고, scanf 를 부를때 fscanf( fpin, ~~ ) 빨간부분을 추가시켜서 부른다. 이때까지 s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