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

    실행될때 메모리에 속하는 프로그램 영역 5가지!

    메모리에 할당받는 프로그램 영역 5가지!

    CPU에 부호를 인식해서 저장/출력 하는 방식

    1. 메모리에서 BB (-69) 를 CPU에다가 저장하여 출력을 할때, CPU에 BUS를 통해서 4byte 만큼의 칸을 받는데 [떙떙|떙떙|떙떙|BB] 를 받을 것이다. 그렇다면 앞에 떙떙은 어떤식으로 처리를 해야할까? ; 만약 int 형 자료면 떙떙|떙떙|떙떙|BB 일 것이고, short 형 자료면 떙떙|BB 로 처리될 것이다. 이때 부호를 인식해서 signed char 형태로 -69 를 출력하기 위해서라면 BB 를 FF|FF|FF|BB 로 출력하지 않고 그냥 BB 값을 가지면 양수 187의 값을 가진다. 그러므로 음수를 출력하려면 앞에 FF 가 채워져 있어야한다. 2. char형 앞에 unsigned 를 붙였더니 양수를 출력하여 앞에 FF 가 없다.

    자료형byte만큼이동보기!

    1. sp = sp + 1 을 실행한 후에 sp 의 주소값을 보면 short 형의 4byte 만큼만 이동한 것은 볼 수 있다.

    Warning 띄우기말자!

    1. 여기서 xp = 8 로 하여도 실행은 되지만 warning 이 뜸. 이유는 int*형 자료인 xp 에 8번지를 입력한 것 (윈도우 운영체제의 주소를 가지고있음, 포인터를 이용해 보려고하니깐 오류남, 자료형을 같게해줘야함)

    ~2013_03_19]변수값과변수주소출력

    1. 변수 값과 주소를 출력 할 수 있다. 주소는 %p로 받을수 있다.